목록Language/Python (15)
멋쟁이 개발자의 블로그

1. 파이썬 스크립트 File>New File 또는 Ctrl+N 눌러 소스 코드 편집 창 호출 파일명 hello.py로 저장 Run>Run Module 또는 F5 2. 명령 프롬프트 1) 명령 프롬프트에서 파이썬 사용하기 2) 명령 프롬프트에서 스크립트 파일 실행하기 cd (경로) -> python 파일명.py 3. 주석

//나도코딩님의 파이썬 강의 정리 1. 리스트 - 대괄호 이용해 리스트 생성 - 리스트.index("a") : a의 인덱스 번호 출력 - 리스트.append("a") : 리스트 맨 뒤에 요소 a 추가 - 리스트.insert(index, "a") : index번째에 요소 a 추가 - 리스트.pop() : 맨 뒤에 있는 요소 제거 - 리스트.cout("a") : a의 갯수 출력 - 리스트.revers() : 순서 뒤집기 - 리스트.sort() : 정렬 - 리스트.clear() : 리스트 내용 지우기 - 한 리스트 안에서 자료형을 통일하지 않아도 됨 - 리스트.extend(다른 리스트) : 리스트 확장 (리스트 + 다른 리스트) 2. 사전 - 중괄호 안에 key : value - 사전[인덱스] 또는 사전.ge..

//나도코딩님의 파이썬 강의 정리 1. 문자열 - 큰 따옴표를 세 개 쓰면 줄 띄움 가능 2. 슬라이싱 : 문자열에서 필요한 정보만 가져옴 - [ ](대괄호) 안에 가져오고 싶은 정보의 인덱스 번호 표시 - 인덱스는 0부터 시작 - [0 : 2]는 0번부터 시작해 2번 직전까지 가져옴 (즉 0, 1만 가져옴) - [0 : 2]를 [ : 2]라고 적어도 됨 - 마찬가지로 마지막 인덱스까지 가져올 때는 표기 안해도 됨 ex. [7 : ] - 뒤에서부터 셀 때는 맨 끝 문자의 인덱스가 -1이 됨 3. 문자열 처리 함수 - lower() / upper() : 문장을 소문자 / 대문자로 바꿈 - islower() / isupper() : 문자가 소문자 / 대문자인지 판별 - len() : 문장의 길이 반환 - r..

//나도코딩님의 파이썬 강의 정리 1. 연산자 2. 수식 - num = num + 2와 num += 2는 같은 문장이다. 3. 숫자처리함수 4. 난수 - random() : 0.0 ~ 1.0 미만의 난수 생성 - int(random() * 10) : 0 ~ 10 미만의 정수형 난수 생성 - randrange(a, b) : a ~ b 미만의 난수 생성 - randint(a, b) : a ~ b 정수형 난수 생성 (a와 b를 포함한다.)

//나도코딩님의 파이썬 강의 정리 1. 숫자 - 정수, 실수 그리고 음수도 출력이 가능하다. - 식을 넣으면 값을 출력해준다. 2. 문자(열) - 큰 따옴표, 작은 따옴표 둘 다 가능하다. - 문자열에 정수를 곱해주면 곱해준만큼 문자열이 출력된다. 3. 불(bool) - 식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 - 앞에 not을 붙이면 반대의 결과 - 문자그대로 True, False 출력 가능 4. 변수 - 문자열에서 변수를 이어줄 때에는 + 기호 사용 - 숫자형을 출력할 때는 str()로 감싸준다. - 변수를 이어줄 때 +기호 대신 ,를 사용할 수도 있다. - 이 경우 숫자형을 str()로 감싸줄 필요는 없지만, 출력할 때 띄어쓰기가 같이 출력됨. 5. 주석 - 주석처리는 # 또는 '''(작은 따옴표 세개)을 사용한..